-
목차
안녕하세요! 2025년이 벌써 4월에 접어들며, 군 복무를 앞둔 예비 군인들이나 군인 가족들에게 가장 궁금한 주제들을 한 번에 정리해보려고 해요. 바로 2025 군별 복무기간, 군인 계급, 월급 총정리, 그리고 간단한 군인 월급 계산기까지! 군 복무에 대한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자세히 적어두었습니다.
📌 2025 군별 복무기간: 얼마나 다를까?
대한민국 군 복무기간은 군종(육군, 해군, 공군 등)에 따라 다르며, 2025년에도 큰 변화 없이 기존 정책이 유지되고 있어요. 단, 복무 단축 정책(2018년 시작)이 완료된 상태라 현재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 육군: 1년 6개월 (18개월)
- 해군: 1년 8개월 (20개월)
- 공군: 1년 9개월 (21개월)
- 해병대: 1년 6개월 (18개월, 육군과 동일)
- 의무경찰/의무소방: 1년 9개월 (21개월, 2025년 폐지 예정)
- 사회복무요원: 1년 9개월 (21개월)
2025년 기준으로 의무경찰과 의무소방은 단계적 폐지 수순에 있어 신규 모집이 줄어들고 있으니, 대체 복무를 고민 중이라면 최신 공지를 확인하세요. 복무기간은 입대일 기준으로 계산되며, 전역일은 공식적으로 부대에서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2025년 4월 2일 육군에 입대하면 2026년 10월 1일 전역이 기본이에요!
📌 군인 계급: 초보 병사부터 장군까지
군인 계급은 크게 병, 부사관, 장교로 나뉘며, 각 군마다 명칭이 조금씩 달라요. 2025년에도 계급 체계는 변함없으니, 입대 전 알아두면 진급 과정이 한결 이해 쉬울 거예요.
✅ 병 계급 (의무복무자)
- 이등병: 입대 후 2개월
- 일등병: 2개월 후 진급 (총 4개월)
- 상등병: 6개월 후 진급 (총 10개월)
- 병장: 6개월 후 진급 (총 16개월, 전역 전 2개월 남음)
✅ 부사관 계급
- 하사: 부사관 임관 후 시작
- 중사: 약 5~7년 근무 후 진급
- 상사: 약 12~15년 근무 후 진급
- 원사: 최고 부사관 계급, 약 20년 이상 근무
✅ 장교 계급
- 소위: 장교 임관 후 시작
- 중위: 2~3년 후 진급
- 대위: 4~6년 후 진급
- 소령~대장: 경력과 심사에 따라 순차 진급
육군, 해군, 공군마다 계급 명칭은 비슷하지만, 해군은 "소위" 대신 "소위(해)", 공군은 "소위(공)"처럼 구분되기도 해요. 계급은 월급과 직결되니 아래에서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
📌 2025 군인 월급: 얼마나 받을까?
2025년 군인 월급은 국방부 예산안에 따라 4.5% 인상(일반 계급) 및 병사 계급(E-1~E-4)에 추가 10% 인상(총 14.5%)이 적용된 상태입니다. 이는 2024년 NDAA(국방수권법) 개정으로 반영된 최신 정보예요. 아래는 병사 기준 월급입니다(세전 기준, 수당 제외).
- 이등병: 약 82만 원 (2024년 75만 원 → 14.5% 인상)
- 일등병: 약 90만 원 (2024년 82만 원 → 14.5% 인상)
- 상등병: 약 100만 원 (2024년 91만 원 → 14.5% 인상)
- 병장: 약 120만 원 (2024년 108만 원 → 14.5% 인상)
부사관과 장교는 경력과 계급에 따라 다르며,
- 하사 (초임): 약 200만 원 이상
- 소위 (초임): 약 250만 원 이상
추가로 복무수당(위험 근무지), 가족수당(유배 우자), 식비 보조(BAS) 등이 붙을 수 있어요. 특히 해외 파병 시 "위험수당"으로 월 50만 원 이상 추가 가능하니, 복무 조건에 따라 월급이 달라질 수 있답니다.
📌군인 월급 계산기
직접 계산해 볼 수 있는 간단한 군인 월급 계산기를 만들어 봤어요. 아래 단계를 따라 해 보세요!
- 기본급 선택: 계급별 기본 월급을 확인 (위 참조).
- 복무기간 입력: 몇 개월째인지 계산 (진급 시점 체크).
- 수당 추가: 근무지나 가족 여부에 따라 수당 예상.
- 예: 위험수당(월 50만 원), BAS(월 10만 원 추정).
- 합산: 기본급 + 수당 = 총 월급!
예시 계산
- 상황: 상등병, 12개월 복무, 위험 근무지 근무
- 기본급: 100만 원
- 수당: 위험수당 50만 원 + BAS 10만 원
- 총 월급: 100만 원 + 60만 원 = 160만 원
정확한 금액은 부대 인사과나 국방부 공식 자료를 통해 확인하세요!
📌 꿀팁: 군 생활 더 알차게!
- 월급 관리: 적금이나 저축으로 전역 후 목돈 마련 가능.
- 복무기간 활용: 자격증 공부나 진로 계획 세우기에 딱!
- 최신 정보 체크: 국방부 홈페이지(korea.kr)에서 공지 확인 필수.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면허 분실 재발급 방법 총정리(+기간,비용) (0) 2025.04.04 자동차 보험 갱신할 때 꼭 확인해야 할 것! (놓치면 손해) (0) 2025.04.03 고양종합운동장 콘서트 좌석수와 좌석별 시야, 완벽 정리! (1) 2025.04.03 2025 서울커피엑스포 티켓 할인 예매방법과 주차팁 (0) 2025.04.03 임신 초기 증상과 생리 전 증상 구분하는 방법 (0)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