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안녕하세요, 여행을 사랑하는 여러분!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전자기기 없이는 여행이 불가능한 요즘, 보조배터리는 필수 아이템이죠. 하지만 비행기에 보조배터리를 들고 탈 때마다 규정이 헷갈려 당황했던 적 있으신가요? 2025년 기준으로 항공사마다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이 조금씩 다르고, 국제 규정도 점점 엄격해지고 있어 미리 알아두는 게 중요해요. 오늘은 주요 항공사별 비행기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을 자세히 정리해 드릴게요. 출발 전 꼭 확인하고, 공항에서 당황하지 말자고요!
1. 보조배터리 반입의 기본 규칙: TSA와 FAA 기준
먼저, 전 세계 항공 규정의 기본이 되는 미국 교통보안청(TSA)과 연방항공청(FAA) 기준을 알아볼게요. 보조배터리는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로 작동하는데, 화재 위험이 있어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답니다.
✔️ 반입 위치
보조배터리는 수하물(checked baggage)에 넣을 수 없고, 기내 수하물(carry-on baggage)로만 반입 가능해요. 기내에서 문제가 생기면 승무원이 바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죠.
✔️ 용량 제한
- 100Wh(와트시) 이하: 제한 없이 반입 가능.
- 100Wh~160Wh: 항공사 승인 필요, 최대 2개까지 허용.
- 160Wh 초과: 반입 금지.
✔️ 팁
용량은 보통 mAh(밀리암페어시)로 표시되는데, Wh로 변환하려면 mAh × 전압(보통 3.7V) ÷ 1000을 계산하세요.
(예: 20,000mAh = 약 74Wh.) 이 기본 규칙을 바탕으로, 각 항공사마다 추가 규정이 있으니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2. 주요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2025년 기준)
✅ 대한항공 (Korean Air)
- 용량: 100Wh 이하 자유 반입, 100~160Wh는 5개까지 허용 (기내+수하물 합산).
- 규정: 160Wh 초과는 절대 반입 불가. 모든 보조배터리는 기내 반입만 가능.
- 특이사항: 2025년 3월, 리튬 배터리 화재 사고 이후 기내 사용 금지 조치가 추가됐어요. 충전은 가능하지만, 비행 중 사용은 자제해 달라는 요청이 있답니다.
- 팁: 공항에서 검사 시 용량 표시가 없으면 압수될 수 있으니, 라벨이 붙은 제품을 챙기세요.
✅ 아시아나항공 (Asiana Airlines)
- 용량: 100Wh 이하 무제한, 100~160Wh는 2개까지 (단락 방지 포장 필수).
- 규정: 기내 반입만 허용하며, 단락 방지를 위해 원래 포장이나 플라스틱 백에 넣어야 해요.
- 특이사항: 승무원이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니, 손상된 제품은 피하세요.
✅ 델타항공 (Delta Air Lines)
- 용량: 100Wh 이하 무제한, 100~160Wh는 2개까지 (사전 승인 불필요).
- 규정: 기내 반입만 가능하며, 최대 20개의 여분 배터리 반입 허용.
- 특이사항: 델타는 비교적 관대한 편이지만, 국제선에서는 도착지 규정을 확인해야 해요.
✅ 싱가포르항공 (Singapore Airlines)
- 용량: 100Wh 이하 자유 반입, 100~160Wh는 승인 필요.
- 규정: 2025년 4월부터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로 기기 충전 금지. USB 포트로 충전하는 것도 안 돼요.
- 특이사항: 저가 항공사 Scoot도 동일 규정 적용. 엄격한 안전 정책 때문에 사전 확인 필수!
✅ 에미레이트항공 (Emirates)
- 용량: 100Wh 이하 무제한, 100~160Wh는 2개까지 (단락 방지 필수).
- 규정: 기내 반입만 가능하며, 용량 표시가 없는 경우 반입 거부될 수 있어요.
- 팁: 두바이 경유 시 현지 규정도 준수해야 하니, 중동 국가 규정을 체크하세요.
✅ 타이항공 (Thai Airways)
- 용량: 100Wh 이하 자유 반입, 100~160Wh 승인 필요.
- 규정: 2025년 3월부터 기내 사용 및 충전 전면 금지. 좌석 밑이나 포켓에 보관해야 해요.
- 특이사항: 아시아 지역 화재 사고 여파로 규정이 강화됐어요.
✅ 저가 항공사 (AirAsia, Ryanair 등)
- 용량: 100Wh 이하만 허용, 100Wh 초과는 대부분 금지.
- 규정: 기내 반입만 가능하며, 개수 제한은 항공사마다 달라요 (예: AirAsia는 20,000mAh 이하).
- 특이사항: 저가 항공사는 규정이 단순하지만, 엄격히 적용되니 작은 용량 제품 추천.
3. 국제선 여행 시 주의할 점
국제선에서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규정을 모두 따라야 해요. 예를 들어
- 일본: 160Wh 초과 배터리 반입 금지, 용량 표시 필수.
- 유럽연합(EU): IATA 기준 준수, 100~160Wh는 항공사 승인 필요.
- 중국: 100Wh 이하만 허용, 표시 없는 제품은 압수 위험.
특히 경유지가 있는 경우, 경유지 규정도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한국 → 싱가포르 → 호주 여행이라면 세 나라 규정을 모두 체크해야 합니다.
4. 보조배터리 안전하게 챙기는 팁
- 용량 확인: 보조배터리에 Wh 또는 mAh 표시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없으면 원래 포장지라도 챙기세요.
- 단락 방지: 배터리 단자를 테이프로 감싸거나 전용 케이스에 넣어 안전하게 보관.
- 비상 가방 준비: 보조배터리, 충전 케이블, 신분증 등을 한 가방에 모아두면 보안 검색 시 편리해요.
- 항공사 문의: 100Wh 이상이라면 출발 전 항공사에 전화나 이메일로 승인 여부를 확인하세요.
- 손상 점검: 찌그러지거나 부풀어 오른 배터리는 절대 사용 금지!
5. 추천 보조배터리: 규정 맞춤형 제품
여행 중 규정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 몇 가지 추천드릴게요.
- Anker PowerCore 10000 (10,000mAh, 약 37Wh): 작고 가벼워 기내 반입에 딱!
- Samsung EB-P3300 (10,000mAh, 약 37Wh): 안전 인증받은 믿을 만한 선택.
- Xiaomi Power Bank 3 (20,000mAh, 약 74Wh): 100Wh 이하로 국제선에도 OK.
2025년에는 항공사마다 보조배터리 규정이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점은 기내 반입과 용량 제한이에요. 여행 전 항공사 홈페이지나 고객센터에서 최신 규정을 확인하고, 안전한 제품을 챙겨서 준비하세요. 공항에서 보조배터리 때문에 발걸음이 묶이는 일 없도록, 미리 항공사별 규정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별 홍역 예방 접종 가능 병원 찾는 5가지 방법 (0) 2025.04.02 2025년 유족연금 수급 조건과 금액 계산법 총정리 (0) 2025.04.02 산불 발생 시 꼭 챙겨야 할 비상 대피 물품 총정리 (0) 2025.04.01 2025년 경기도 용인시 다자녀 혜택 총정리 (0) 2025.04.01 내 재산세 과세표준, 정확히 확인하는 3가지 방법 (0) 2025.03.31